벌교중학교 지도 이미지

벌교중학교 114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학교ID
B000010546
학교명
벌교중학교
학교급구분
중학교
설립일자
1946-11-15
설립형태
공립
본교분교구분
본교
운영상태
운영
소재지지번주소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봉림리 303-3
소재지도로명주소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조정래길 86-27
시도교육청코드
8,490,000
시도교육청명
전라남도교육청
교육지원청코드
8,601,000
교육지원청명
전라남도보성교육지원청
생성일자
2013-11-29
변경일자
2024-07-09
데이터기준일자
2024-09-20
제공기관코드
B555223
제공기관명
재단법인한국지방교육행정연구재단

주변 대학 전문대

청암대학교

전라남도 순천시 녹색로 1641 (덕월동, 순천청암대학)

'벌교중학교'에서 15.88km

바로가기

순천제일대학교

전라남도 순천시 제일대학길 17 (덕월동, 순천제일대학)

'벌교중학교'에서 15.96km

바로가기

국립순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로 255 (석현동, 순천대학교)

'벌교중학교'에서 18.02km

바로가기

국립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로 255 (석현동, 순천대학교)

'벌교중학교'에서 18.02km

바로가기

국립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로 255 (석현동, 순천대학교)

'벌교중학교'에서 18.02km

바로가기

국립순천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로 255 (석현동, 순천대학교)

'벌교중학교'에서 18.02km

바로가기

국립순천대학교 산업대학원

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로 255 (석현동, 순천대학교)

'벌교중학교'에서 18.02km

바로가기

국립순천대학교

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로 255 (석현동, 순천대학교)

'벌교중학교'에서 18.02km

바로가기

한국폴리텍 V 대학 순천캠퍼스

전라남도 순천시 기적의도서관1길 41 (조례동, 한국폴리텍대학순천캠퍼스)

'벌교중학교'에서 20.24km

바로가기

한려대학교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한려대길 94-13 (덕례리, 한려대학교)

'벌교중학교'에서 23.31km

바로가기

한려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한려대길 94-13 (덕례리, 한려대학교)

'벌교중학교'에서 23.31km

바로가기

한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한려대길 94-13 (덕례리, 한려대학교)

'벌교중학교'에서 23.31km

바로가기

주변 미술관 박물관

우종미술관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대곡리 산 46번지

'벌교중학교'에서 11.85km

바로가기

순천세계수석박물관

전라남도 순천시 상사면 오곡리 78번지 1호

'벌교중학교'에서 13.33km

바로가기

선암사성보박물관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번지

'벌교중학교'에서 16.34km

바로가기

순천시립 뿌리깊은나무박물관

전라남도 순천시 장천동 53번지 1호

'벌교중학교'에서 17.21km

바로가기

순천시기독교역사박물관

전라남도 순천시 매곡동 179번지 10호

'벌교중학교'에서 17.47km

바로가기

송광사성보박물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번지 0호

'벌교중학교'에서 18.02km

바로가기

호남호국기념관

전라남도 순천시 연향동 144번지 0호

'벌교중학교'에서 18.79km

바로가기

여수민속전시관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가장리 830 여수민속전시관

'벌교중학교'에서 19.45km

바로가기

순천곤충박물관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복성리 563번지 1호

'벌교중학교'에서 21.56km

바로가기

고흥갑재민속전시관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운대리 458번지 3호

'벌교중학교'에서 22.23km

바로가기

대원사 티벳박물관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죽산리 801번지 0호

'벌교중학교'에서 22.79km

바로가기

고흥운대분청사기문화관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운대리 141번지 1호

'벌교중학교'에서 24.76km

바로가기

블로그 리뷰

  • 벌교중학교 | 남파랑길 63코스 일부(보성 벌교읍내 태백산맥 문학기행길) 후기

    걸은 후기 :) ​ 미밴드 기록 ​ ​ 남파랑길 63코스​ (전남 보성군) 길이 21.0km / 소요시간 약 7시간 코스 개요​ 🚩 보성군의 기 조성길인 '태백산맥 문학길'을 따라...생가 등의 자원을 두루 체험하며 걷기여행을 즐길 수 있는 코스 🚩 벌교 꼬막거리, 시장 등이 형성되어 있어 먹거리, 살 거리가 풍부함 ​ 여행자 정보​ 🚩시점...

    동동가족(2025-07-12 15:58:00)

  • 벌교중학교 | 전라도 여행 (태백산맥 문학관)

    싶었던 벌교 중학교 때부터 가고 싶었는데ㅎㅎ 내가 이 곳에 진짜 왔다니~~ 태백산맥에서 접했던 장소들. 신기하다 완죤~~🫶🥰 문학관 가기 전에~~ 꼬막정식 냠냠 보성 막걸리~ 숙소는 보성여관 태백산맥 책에도 나왔던 곳. 역사깊은 곳에서 잠을 자다니 행복럭키 나의 조정래작가님~~♡ 갓영하님... 드디어 도착한 태백...

    비처럼 음악처럼(2025-03-09 15:27:00)

  • 벌교중학교 | 문화유산 사색(寫色)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2) 최용백 사진전

    더해준다. 국보 제78호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보다 연대가 내려와 삼국시대 후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작가 최용백은 전남 보성군 벌교출신으로 벌교서교, 벌교중학교, 벌교상업고등학교, 인천재능대학교 사진영상미디어과, 초당대학교 사진영상학과, 가천대학교 디자인대학원에서 포토그라피 전공(석사...

    100yong100님의 블로그(2025-07-03 23:16:00)

  • 벌교중학교 | 소설 태백산맥 배경장소 찾아가기 이야기입니다.

    회정,벌교중학교로 가는 유일한 다리였습니다. 지각하겠다 싶으면,,, 지름길 ,,, 그냥 벌교역쪽에서 철다리 넘어서 왔지만.. 철다리 건너오면 학교 교외 마이크에서 야~~!! 너~~!! 위험하니 돌아가라~~!!! 합니다.. 그러면 잡히지 않으려고 더 빨리 달립니다 그러면 야~~!! 임마~~! 천천히 건너와~~!! 합니다...

    벌교땅골로(2018-03-16 19:38:00)

  • 벌교중학교 | 청소년들의 꿈을 후원하는 드림온 프로젝트 - (2014.03.29)

    오늘 "드림온" 잘 마칠 수 있었다고 생각됩니다. 여러가지 감사한 마음을 후기로 담아서 전달드리고 또, 향후 더 발전된 모습을 위해 후기를 공유드립니다...학생을 모시고 버스는 출발합니다. 취이익~~ (굳이 기록을 남겨두자면,,, 벌교중학교 학생이었습니다. -_-) ​ ​ 바쁜 일정에도 장학회 홍보를 위해 벌교까지...

    드림온(2015-11-26 16:35:00)

  • 벌교중학교 | 꼬막

    조선 후기 이만영이 쓴 〈재물보〉에 고막이란 말이 처음 등장합니다. 〈자산어보〉에서도 감蚶 속명을 고막합이라 하고는 ‘고깃살은 노랗고 맛이 달다’고 하였습니다. 감은 벌레 충虫과 달 감甘자가 합쳐진 말로, ‘달콤한 조개’란 뜻입니다. ​ ‘고’와 ‘꼬’는 구별 없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작은 사물을 지칭...

    햇살의 물고기학당(2021-01-26 06:16:00)

  • 벌교중학교 | 『기획탐방』 출향시인을 찾아서

    나와 벌교 중학교를 다녔다. 그 후 고향을 떠나 광주에서 성장하면서 고등학교 때부터 책읽기를 좋아했고 습작 활동을 시작했다. 조선대 국문과를 2년동안 다닐 무렵, 김현승 시인을 만나 1963년 <죽음의 서장>이 1964년 <無爲>가 1966년 <無心>이 월간지 현대문학에 천료됨으로써 문단에 나오게 되었다. 1960년대 초...

    익숙한 풍경(2011-06-23 00:12:00)

  • 벌교중학교 | 간추린 퀴즈 모음 465

    Nauru) ⚫ [벌교 중학교 동창생 광석이가 ( ) 한 말을 부쳐왔다. ( )을 삶는 일은 엄숙한 일, 이 섬세한 남도의 살림 성사는 타지 처자에게 맡겨서는 안된다] 박노해(朴勞解) 시인의 시집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의 일부이다. 빈칸에 해당하는 것은 : 꼬막 ⚫ 이것의 바이오인식정보 수록 범위는 얼굴, 지문(양손...

    임호의 세상만사(2020-12-02 08:45:00)

  • 벌교중학교 | 음악편지

    시인의 벌교 중학교 동창생 광석씨는 이 태풍이 달가울 수도 있겠다. 시인의 시 '꼬막'에서 광석씨는 꼬막 수확이 예전만 못하다 한다. 그 원인은 '여자만'에 태풍이 오지 않았다는 것이다. 꼬막이 실하고 맛 있으려면 태풍이 불어 바다와 갯벌을 시원하게 한번씩 뒤집어 줘야 한다는 것이다. 시인은 세상이 바뀌려면 한...

    채홍석님의블로그(2022-09-05 22:47:00)

  • 벌교중학교 | 사진작가 최용백 미국 뉴욕서 인천의 섬 ‘백령도, 평화를 품다’ 사진 전시

    조선 후기의 천재화가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1859)의 <박연폭(朴淵瀑)>이 떠올랐다. 먹과 여백의 대비를 한껏 살린 18세기의 거장의 그림이 200년이 지난 오늘날 최용백에게서 가장 현대적 예술매체인 ‘사진’에 의해 재탄생되고 있었다. 겸재의 박연폭을 감상할 때 느껴지는 감정들이 최용백의 사진을 보며...

    한국사진방송 공식블로그(2017-12-11 14:45: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